정치/선거경제/복지미디어전쟁국제정치.경제민족/통일사회/사법군사/안보문화/스포츠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번 찾기
전체기사보기 교육/과학   고대사/근현대사   고향소식/해외동포   포토/해외토픽  
편집  2024.10.18 [17:20]
국제정치.경제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한·중·일 학자들 “위안부 해결 없인 아시아 평화 없다”
 
한겨레 기사입력 :  2016/10/29 [16:33]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한·중·일 학자들 “위안부 해결 없인 아시아 평화 없다”

한·중·일 학자들 “위안부 문제는 ‘끝나지 않은 역사’”


등록 :2016-10-28 21:23수정 :2016-10-28 22:27


2016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
마지막 세션 : 동아시아의 평화·화해
제12회 2016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 이틀째인 28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누리마루 아펙(APEC) 하우스에서 ‘동아시아 평화와 역사 화해를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을 주제로 제4세션 토론이 열리고 있다.  부산/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제12회 2016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 이틀째인 28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누리마루 아펙(APEC) 하우스에서 ‘동아시아 평화와 역사 화해를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을 주제로 제4세션 토론이 열리고 있다. 부산/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28일 오후에 열린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 네 번째 세션에서는 동아시아의 평화와 화해를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논의됐다. 한국과 일본 정부는 지난해 12월28일 ‘최종적이고 불가역적 해결’이라며 위안부 문제를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이날 발표자 및 토론자로 나선 한·중·일 학자와 시민사회 관계자들은 위안부 문제는 ‘끝나지 않은 역사’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일, '소녀상 이전' 박대통령 분명한 입장 요구
박근령 "일본과 한국의 군사동맹을 방해하는 사람들"을 경계해야


박근령의 경악할 친일 망언, 그 뿌리는 어디인가?


日 역사학자들, "위안부 강제 연행은 사실"


日위안부로 끌려갔던 네덜란드 여성 “강제동원 인정 않는 日 가증스러워”


“위안부는 창녀들…장군보다 많이 벌어”
 
내 이름은 김순악, 일제에 짓밟힌 소나무 한 그루

反노무현하고 反김정일 한다고 다 보수우파일 수 있는 것이 결코 아니다!

日王의 원래 국제적호칭은 倭王이다!


조갑제는 기자정신을 외칠 자격이 없다



양미강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이사는 12·28 합의를 둘러싼 평가가 엇갈리는 현실을 지적하며 이 합의가 정부와 시민단체들 간에 심각한 갈등과 불신을 불러왔다고 밝혔다. 양 이사는 “지난 20년 동안 시민사회는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 정부의) 범죄 인정, 진상 규명, 공식 사죄 등을 요구해왔지만 제대로 된 게 하나도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 내에서도 피로감이 누적된 게 사실”이라면서도 “중요한 것은 피해자가 몇 명인지조차 규명되지 않은 현실”이라고 말했다.


양 이사는 일본 정부가 한국의 ‘화해·치유재단’에 10억엔을 송금한 뒤 더이상 위안부 문제를 거론하지 않기로 한 것이 12·28 합의의 핵심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이어 12·28 합의가 피해 당사자가 중심이 된 합의가 아니었던 점, 법적 책임과 10억엔 기금의 성격이 모호한 것이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소녀상 철거를 둘러싼 양국의 입장이 엇갈리는 것도 문제라고 밝혔다.


양 이사는 이어 시민사회의 재협상 요구와 국내외적으로 소녀상 건립이 확산되는 상황 속에서 일본 정부의 진정성이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짚었다. 그는 역사정의와 화해를 위해서는 “우리 스스로 이 역사를 기억하기 위한 투쟁이 필요하다”고도 말했다.


다나카 노부유키 일본 역사교과서넷 구마모토 사무국장은 일본 내에 일고 있는 역사수정주의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다나카 국장은 ‘위안부 증언’을 처음 보도한 우에무라 다카시 전 <아사히신문> 기자에 대한 일본 사회의 비난이 고조되자 이 신문사가 ‘오보’라고 인정한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우에무라는 1991년 8월11일 한국인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고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을 통해 처음으로 보도한 뒤 일본 사회에서 비난을 받았다. 그러다 2014년 <아사히신문>은 ‘한국인 여성들이 강제연행됐다’던 일본인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이 “허위라고 판단했다”며 ‘요시다 증언’ 기사를 취소했다. 다나카 국장은 “당시 <산케이신문>과 <마이니치신문>도 ‘여자정신대와 위안부’를 인정하는 보도들을 했다”며 “<아사히신문>의 사죄는 결국 비판자들, 역사수정주의자들에 대한 굴복”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베 신조 총리는 강제연행이라는 말을 참 좋아하는데 ‘강제연행이 없었기 때문에 범죄가 아니다’라는 건 말이 안 되는 주장”이라며 “일본 대심원(현재 대법원)은 1933년 시즈오카 여성을 속여 만주로 데리고 간 피고인들에게 미성년 국외 이송 목적 유괴죄를 인정했다”고 말했다. 또 이와 유사한 1937년 나가사키 사건 대심원 판결도 소개했다.


다나카 국장은 “일본의 중학교 교과서에서 위안부 문제가 거의 사라졌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또 “(일본) 국민이 주권자로서 역사인식을 회복하는 게 중요하다고 보고 개헌 시도를 저지하는 데 나서지 않으면 일본에는 미래가 없다”고 덧붙였다.


장롄훙 중국 난징사범대학 교수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위안부 시설로 추정되는 중국 난징 리지샹 2호 ‘동운 위안소’에 세워진 위안부 기념관 설립 과정을 통해 중국 내 위안부 역사 교육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장 교수는 “중국에서는 한국에 비해 위안부 문제에 소극적이었다”며 “일본 우익 정부에 대응하는 것뿐 아니라 중국 스스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아픔들을 직면하고 극복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부산/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politics/diplomacy/767871.html?_fr=mt2#csidx11b56642c2db6d1af4d16d5e9dd964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민족신문
 
 
주간베스트
  개인정보취급방침광고/제휴 안내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

Copyright ⓒ 2007 인터넷 민족신문. All rights reserved.
Contact for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