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노사 합의 사항이 사법적 쟁송의 대상이 된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불안한 것이다. 이런 나라가 별로 없다. 한국GM의 경우 2014년 3월 대법원 판결을 수용해 정기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시켰다. 그 결과 인건비가 올라 경영에 부담이 됐다. 그로 인해 생산량이 줄었다. 한국GM 입장에서 생산량을 늘릴 의지와 동기가 사라져 버린 것이다. 통상임금 문제는 법의 공백 상태 탓에 나온 것이다. 그 공백을 노동부의 행정지침으로 보완한 게 문제가 됐다. 이미 인건비 부담이 과도한 상황에서 통상임금 부담까지 지게 되면 자동차산업뿐만 아니라 전 제조업이 망한다. 자동차산업은 특히 시간 외 근무가 많기 때문에 다른 산업에 비해 직격탄을 맞게 된다. 자동차 회사는 시간 외 수당을 줄이는 수밖에 없다. 물량을 줄이고 그만큼 생산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기아차가 통상임금 재판에서 지면 임금 문제로 생산거점을 해외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했다가 산업통상자원부의 질책을 듣고 성명서를 수정했는데.
“가정을 하고 얘기한 것인데 언론이 너무 해외 이전 부분만 부각시켰다. 문제를 더 확대하고 싶지 않다. 나중에 자세하게 얘기할 기회가 있을 것이다.”
산업정책 측면에서 필요한 건 없나.
“디젤차 중심의 유럽은 이산화탄소 규제를 하고 미국은 배기가스 규제를 강화했다. 우리는 두 규제를 다 가져왔다. 자동차에 대한 안전 기준과 환경 기준은 필요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이지만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 환경 기준은 세계 최고의 유럽 기준을 적용한다. 우리는 아직 유럽 수준을 따라가지 못한다. 그러다 보니 관련 기술을 모두 유럽에서 들여와야 한다. 유럽 차만 배부르게 해주는 것이다. 쓴 약이 몸에 좋기는 한데, 양이 너무 많으면 치사량이 되지 않겠나.”
인터뷰를 마친 후인 이날 오후 문재인 대통령이 경제사회발전 노사정위원장에 문성현 전 민주노동당 대표를 위촉했다. 김 회장의 반응을 물어볼까 하다가 그만뒀다. 생각해 보니 그가 인터뷰에서 이미 답을 했다. “노사관계 패러다임의 변화를 위해선 정부가 중립적으로 노사 간의 대화를 이끌어야 한다.”
「
1956년 전남 보성군 벌교읍에서도 한참 들어가는 농촌에서 났다. 순천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행시 23회에 합격해 산업통상자원부 전신인 상공부와 산업자원부에서 산업정책과장, 산업정책관, 산업정책본부장을 지냈다. 정부가 산업정책을 힘 있게 이끌던 시절, 중심에 그가 있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원장을 거쳐 2013년 10월부터 한국자동차산업협회장을 맡고 있다. 2014~2016년 세계자동차공업협회장도 지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