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선거경제/복지미디어전쟁국제정치.경제민족/통일사회/사법군사/안보문화/스포츠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번 찾기
전체기사보기 교육/과학   고대사/근현대사   고향소식/해외동포   포토/해외토픽  
편집  2024.09.16 [12:40]
민족/통일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몽골과의 국가연합?
왜 몽골과 국가 연합을 해야하나?
 
서울신문 기사입력 :  2016/11/05 [19:24]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밴드
몽골과의 국가연합?
왜 몽골과 국가 연합을 해야하니?
 
서울신문 ㅣ 기사입력 :  2008/09/10 [02:55]
 
신년 제안 가재모 : 한국/몽골과의 fta와 국가연합 국가전략적으로 추진해야
2008.01.07 해외 식량기지 확보와 “한국 + 몽골국가연합
2008.05.30
 

(아~ 몽골 그들은 누구인가 ?) 몽골(mongolia) 탐구 3편 '국가연합 가능성
2008.01.01
한국-몽골 국가연합론 세미나 [3]
2008.07.16
한국-몽골 국가연합론 세미나 [2]
2008.07.16
한국-몽골 국가연합 2008.05.07

 
한국-몽골 국가연합론 세미나 :'금덩이' 깔고 앉은 몽골, "한국은 외국이 아니다" 2007년
대선주자 캠프에 '한국-몽골 국가연합론' 솔솔 :이명박 "양국에 모두 이익, 중국 반대 없으면 가능" 2006년
 
민족중건 grand corea 과 한국.몽골 국가연합을 위한 자료 7
2007.08.12 민족중건 grand corea 와 한국.몽골국가연합 자료5
 
한국-몽골 국가 연합 (2)
 
2006.09.11 
 
관련기사
쿠빌라이 칸은 , 자신과 다른 민족이거나 다른 종교를 가졌다는 이유로 누군가를 차별하지 않았다...

한국과 몽골, 그 천년의 비밀을 찾아서
 
더 늦기 전에 평양을 통일한국의 수도로 확정 선언해야!
몽골이 한국을 어머니(솔롱고스)의 나라로 부르는 이유
광개토태왕을 ‘벤치마킹’ 할 때다

가자! 북방으로 ‘나의 原鄕’ 고구려를 찾아서 - 윤명철 교수
 
북한, 중국의 또 다른 '티벳'될 수 있다!
위기의 시대임을 숨기거나 통찰할줄 모르는자는 지도자 자격이 없다!
한반도 문제,최소한 드골정도는 나와줘야 해결가능!
역대 한국외교의 치명적,고질적 병폐는 무엇인가?

 
大丈夫 임 백호를 그리워함
 
"흥선 대원군을 그리워 함"


한국-몽골 국가연합(1)
2006.09.11 
 


왜 몽골과 국가 연합을 해야하나?
2006.10.23  

몽골과의 국가연합?
 
 
대한민국과 몽골의 국가연합, 황당하게 들렸다. 한편으로 양국 학계에서 왜 그런 얘기가 나오는지 궁금했다. 휴가 일정을 조정해 중견언론인 모임인 관훈클럽이 지난주초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개최한 한·몽골 교류 세미나에 동참한 이유이기도 하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이목희 편집국 부국장


몽골의 칭기즈칸 공항에 내리니 모든 게 정겨웠다. 둥근 얼굴, 가늘고 찢어진 눈. 수십년 전 한국 토종의 시골 아저씨, 아주머니가 떠올랐다. 몽골반점으로 대표되는 한국과 몽골의 인종·언어적 공통점은 익히 들은 바 있다. 그래도 고개가 갸웃거려졌다. 이런 정도로 정치·외교적인 국가연합을 하자는 주장이 나올 수 있나.
 

 

주제발표에 나선 생비렉 몽골 국립대 교수는 작은 키에 전형적인 몽골 여성이었다. 그의 지적은 날카로웠다. 두나라 국민들이 느끼는 친근감은 피상적일 뿐이라고 했다. 고대사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연대를 논하기엔 역사연구가 서론단계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양국간 다른 점 13가지를 꼽은 한국 학자의 연구를 소개했다.

 

 

한국은 가족관계를 중시하고, 몽골은 인간관계를 우선시한다. 한쪽은 종교가 복잡하고, 한쪽은 단순하다. 선진국 문턱에 이른 나라와 겨우 개발도상국으로 향하는 나라 등. 국제결혼 건에서는 한국인으로서 부끄러워졌다. 몽골은 영리 목적의 중매결혼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50대 한국 남성이 몽골의 젊은 처녀와 혼인을 원한다는 신문광고가 수시로 나온다고 했다.

 

  

 

그럼에도 생비렉 교수의 결론은 위안이 되었다. 수교한 지 15년 만에 한국과 몽골의 협력관계 발전은 괄목할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몽골 국민들은 중국의 통치 아래 있는 내몽골과의 통합에 큰 관심이 없다고 했다. 한국의 기술·자본과 몽골의 지하자원이 결합하는 협력의 미래가 오히려 밝다는 것이다. 국가연합론이 나오는 배경을 역사보다는 실용적 관점에서 풀이했다.  

 

베이징올림픽 후 혐한류(嫌韓流)가 부쩍 화제에 오른다. 반한감정 확산을 막으려고 중국내 한국인들이 ‘겸따마다(겸손하고 따뜻한 마음으로 다가가기)’ 운동을 시작했다. 혐한류는 중국에서만의 문제가 아니다. 동남아 지역과 무역업을 하는 이가 걱정했다.“과거에는 일본에 대해 이익만 챙기고, 주는 게 없다는 인식이 강했다. 몇년 전부터는 한국이 그런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국에서 차별대우를 받고 돌아간 동남아 근로자를 중심으로 반한단체가 만들어지기도 한다고 했다.
 
 
우리가 비슷하게 대하는 데도 몽골은 아직 한국에 우호적이다. 정부와 국민 모두 그렇다. 탈북자가 중국 영내에서 잡히면 끝장이지만 몽골 국경을 넘으면 자유의 몸이다. 돌아오는 비행기안, 한·몽골 국가연합론이 나오는 상황이 나쁘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적어도 혐한류 극복 모델을 몽골에서 찾을 수 있을 것 같았다.
 




양국간 유대감을 강화할 소재를 계속 발굴해야 한다. 한국은 손해를 감수하면서 도움을 준다는 인식을 주도록 민·관이 노력하자. 자원확보·식량기지, 이런 말은 뒤로 돌리는 편이 낫겠다. 그렇게 하다 보면 급변하는 국제사회에서 두나라 관계가 어디까지 나아갈지 모를 일이다. 중국의 견제를 우려하는 시각이 있다. 그런 어려움을 넘어서 작품을 만드는 게 국제정치의 묘미다. 칭기즈칸이 누빈 초원을 한민족과 몽골족이 하나가 되어 누빌 날이 오지 말란 법도 없다. 국가연합론은 여러 단계가 있다. 외교당국이 조심스럽게 타진해 보길 바란다. 이목희 편집국 부국장 mhlee@seoul.co.kr
2008-09-09  31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민족신문
 
 
주간베스트
  개인정보취급방침광고/제휴 안내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

Copyright ⓒ 2007 인터넷 민족신문. All rights reserved.
Contact for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