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왕궁 발굴 '단군 이래 최대의 발굴사업' …"기대감 고조"
최종수정 2015.03.19 12:29
기사입력 2015.03.19 12:29
|
사진제공=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경주 월성 시굴 첫 조사에서 대규모의 건물터와 다량의 유물이 발굴됐다.
18일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 12월12일 고유제를 시작으로 조사한 사적 제16호 '경주 월성' 중앙지역(5만7000㎡)의 시굴조사 성과를 공개하고 본격 발굴조사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약 50일간 진행된 시굴조사는 지하 매장구조의 전반적인 양상을 파악하고자 표층부분을 발굴했다. 조사지역에서는 기단, 초석, 적심 등 건물지 6동과 담장 12기 등이 확인됐다.
| 관련기사 |
|
|
현재까지 확인된 건물지와 담장의 흔적들은 유적 내 최상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삼국 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 전반에 걸친 토기와 기와들이 출토되는 것으로 볼 때 통일신라시대 월성의 마지막 단계의 모습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 중 정면 12칸, 측면 2칸의 3호 건물지(28m×7.1m)는 적심 위에 초석을 올렸고 담장과 배수로가 딸려있다. 유물은 고배, 병, 등잔, 벼루, 막새기와, 귀면기와, 치미 등 통일신라시대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연구소는 서울 풍납토성과 경복궁, 전북 익산 왕궁리유적, 강원 강릉 굴산사지 등 주요 국가 사적을 조사했던 베테랑 발굴 인력 100여명을 투입했다. 고고학계는 '단군 이래 최대의 발굴사업'이라는 표현까지 써 가며 흥분을 감추지 못할 정도로 높은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경주 월성 조사는 천년 고도 경주의 역사정체성을 규명하고 대통령 공약사항인 '경주 역사문화 창조도시 조성(왕궁 복원)'의 이행을 뒷받침한다는 두 가지 배경이 있다.
1914년 일제가 남벽 부근을 처음 파헤친 지 100년 만에 우리 손으로 실시한 최초의 내부조사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한편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0일 문화재 위원회 승인을 거친 뒤, 이르면 다음주부터 정밀 발굴 조사에 본격적으로 들어갈 예정이다.
||||||||||||||||||||||||||||||
신라 왕궁 발굴, 신라가 감쳐왔던 비밀은 과연?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2015.03.19 14:33 신라 왕궁의 비밀이 밝혀진다.
현재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8백년이 넘게 신라왕궁으로 사용됐던 경주 월성에서 시굴 조사가 한창 진행중이다. 첫 조사에서 대규모의 건물터와 다량의 유물이 발굴되며 베일이 하나씩 벗겨지고 있다.
| 관련기사 |
|
|
가지런히 놓여 있는 작은 돌들과 곳곳에 놓인 커다란 초석은 한눈에 봐도 집터임을 짐작케 한다. 중심부에서는 건물터 6곳과 담장, 심지어 배수로도 발견됐다.
가장 큰 건물은 길이가 28m, 폭이 7.1m로 면적은 200㎡나 된다.
특히 건물터 밑에서는 연꽃 모양이 새겨진 기와와 음각 기호가 그려진 토기 등 신라시대 유물 수 만점도 발굴된 상태다.
일제강점기 당시 경주 월성 주변에서 간헐적인 조사는 있었지만 이렇게 내부를 본격적으로 조사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소는 내일 문화재 위원회 승인을 거친 뒤 정밀 발굴 조사에 본격적으로 들어갈 예정이다.
온라인 중앙일보
‘신라 왕궁 발굴’[사진 중앙포토]